검색

잎, 줄기

멸가치

작성일 25-04-20 09:41 | 35 | 0

본문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1000s, -0.33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9 13:55:51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1600s, -0.33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9 13:56:28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1000s, -0.33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9 13:57:19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1250s, -0.33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9 13:57:43

꽃을 만나고 사진을 정리하다가 보면

가끔씩은 식물의 이름 어디에서 유래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길때가 있다.

나도바람꽃을 보러갔다가 산나물로 먹어도 될것같은 

멸가치의 새싹을 보면서 이름의 유래를 찾다가 보니

우면산님의 글이 눈에띠었다.


멸가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Adenocaulon himalaicum (아데노카울론 히말라이쿰)


요즘 등산로에 흔한 꽃, 왜 이름이 멸가치일까?

우면산.2022.9.10.12:39


또 하나 어느 블로그에 적고있는 글을 인용해 보면

방사형으로 퍼진 열매의 모양이 마치 멸치가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조선의 구황식물>에 따르면 '열가치' 라는 이름을, <조선산야생식용식물>에서는 '명가지' 라는

이름을 기록했는데 멸치를 지방에 따라 '열치' 또는 '명어치' 라고도 하므로 이 역시 

멸치와 가지의 합성어로 이해된다.

<조선식물향명집 주해서>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잎, 줄기 목록

Total 1,786
게시물 검색